클린 업 이란?
우리가 처음에 “어떤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사라졌을 때 무언가를 실행하고 싶다면”이라는 소로 시작을 했습니다. 컴포넌트가 나타났을 때 (렌더링됐을 때 === 함수 컴포넌트가 실행됐을 때) useEffect의 effect 함수가 실행되는 것은 우리가 배웠으니, 이제 컴포넌트가 사라졌을 때 무언가를 어떻게 실행하는지 배워봅시다. 이 과정을 우리는 클린 업 (clean up) 이라고 표현합니다.
클린 업 하는 방법
// src/App.js
import React, { useEffect } from "react";
const App = () => {
useEffect(()=>{
// 화면에 컴포넌트가 나타났을(mount) 때 실행하고자 하는 함수를 넣어주세요.
return ()=>{
// 화면에서 컴포넌트가 사라졌을(unmount) 때 실행하고자 하는 함수를 넣어주세요.
}
}, [])
return <div>hello react!</div>
};
export default App;
클린 업을 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. useEffect 안에서 return 을 해주고 이 부분에 실행되길 원하는 함수를 넣으면 됩니다.
클린 업 활용해보기속세를 벗어나는 버튼 을 만들었고 버튼을 누르면 useNavigate에 의해서 /todos로 이동하면서 속세 컴포넌트를 떠날 것 입니다. 그러면서 화면에서 속세 컴포넌트가 사라질 것 이고, useEffect의 return 부분이 실행될 것 입니다.클린업이 실행되는 영상잘 작동하죠? / 에서 /todos 잘 이동했고, 그 과정에서 clean up이 실행되었습니다.
출처 - 스파르타코딩클럽(항해99과정):https://hanghae99.spartacodingclub.kr/
'(펌)개념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스팅(nesting)이란? (0) | 2022.07.29 |
---|---|
Styled Components 전역 스타일링 (Global Style) (0) | 2022.07.29 |
의존성 배열(dependency array) 이란? (0) | 2022.07.29 |
useEffect (0) | 2022.07.29 |
State란? (0) | 2022.07.29 |